APA 스타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PA 스타일은 미국 심리학회에서 제정한 학술 논문 작성 양식으로, 1954년 처음 등장했다. 이 스타일은 2009년 제6판, 2019년 제7판으로 개정되었으며, 편견 없는 언어 사용, 윤리, 참고 문헌, 통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지침을 제공한다. APA 스타일은 제목 페이지, 초록, 본문, 참고 문헌 등으로 구성되며, 저자-날짜 인용 방식을 사용한다. 참고 문헌 작성 시 저자, 연도, 제목, 출처 정보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문서 유형에 따라 형식이 달라진다. APA 스타일은 영미권 학술 환경을 반영하여 한국어 논문 작성에는 일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잦은 개정으로 인한 혼란과 초판 오류 발생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일 가이드 - MLA 스타일 매뉴얼
- 스타일 가이드 - 시카고 매뉴얼 오브 스타일
시카고 매뉴얼 오브 스타일은 미국의 편집 스타일 가이드로, 출판 및 편집, 스타일, 출처 인용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며 학술 출판에서 널리 사용되는 표준으로, 디지털 출판 변화를 반영하여 현재 18판까지 출판되었다.
APA 스타일 | |
---|---|
개요 | |
![]() | |
종류 | |
스타일 가이드 | 학술 스타일 |
작성 | |
분야 | 사회과학 행동과학 간호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영학 |
상세 정보 | |
개발자 | 미국 심리학회 |
첫 게시일 | 1929년 |
최신판 | 제7판 (2020년 10월) |
ISBN | 978-1-4338-3217-8 |
2. 역사
APA 스타일은 1954년 《심리 회보(Psychological Bulletin)》의 60페이지 부록으로 처음 등장했다.[27] 이후 정보의 복잡성 증가와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개정을 거쳤다. APA 스타일은 과학 논문, 학술 연구 기관의 텍스트 등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AMA 스타일(American Medical Association영어)이나 CSE 스타일 (Council of Science Editors영어)과 함께 주요 스타일 매뉴얼 중 하나이다.
2. 1. 초기 발전
APA 스타일은 1954년에 출판된 Psychological Bulletin영어의 60페이지 부록에서 시작되었다.[27] APA는 이 가이드라인을 사회 및 행동 과학 분야의 독해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했으며, 의사소통의 명확화와 차별적이고 편견적인 용어 사용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28][29]과학에 관한 정보가 복잡해짐에 따라, 개정판은 1974년, 1983년, 1994년, 2001년, 2009년에 발행되었다. APA 매뉴얼은 참고 문헌을 간결하게 기술하는 방법과 어휘 선택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특히 영향력이 컸던 것은 1974년 판의 부록으로 처음 세상에 나온 "APA 저널의 비성차별 언어 가이드라인(Guidelines for Nonsexist Language in APA Journals)"이다. 이 가이드라인에서는 성차별적 용어를 어떻게 대체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30][31] 차별적 용어를 줄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은 해마다 갱신되고 있으며, 인종, 민족, 연령, 성별, 성적 지향, 장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32][33]
2. 2. 개정판 발행
1974년, 1983년, 1994년, 2001년에 개정판이 발행되었다. 2009년에 발행된 APA의 ''출판 매뉴얼''(Publication Manual) 제6판은 4년간의 개발 기간을 거쳐 2019년까지 사용되었다. APA는 온라인 자료 사용 증가와 학술 저널의 온라인 접근성 증가를 반영하여 제6판을 발행하였다.[21][22] APA영어 스타일 블로그를 통해 사용자들의 질문에 답변하였다.2019년 10월에 최신 7판이 발행되었다.[15] 7판은 명확성, 정확성, 포괄성을 증진하고, 특히 접근성과 편견 없는 언어 사용에 대한 최신 지침을 반영하였다.[16][17] 예를 들어, 본문 내 인용 형식을 단축하여 화면 읽기 사용자나 인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3. 구성 요소
APA 양식 논문은 일반적으로 제목 쪽, 초록, 본문, 참고 문헌, 각주, 표 (표마다 새 쪽), 그림 캡션, 그림 (그림마다 새 쪽)과 같은 구획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새 쪽에서 시작한다.[16]
3. 1. 제목 페이지
APA 스타일의 제목 페이지는 논문 제목, 저자 이름, 소속 기관, (필요시) 지도 교수 이름, 제출 날짜 등을 포함한다.[16] 《미국 심리학회 출판 매뉴얼》(''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제7판에서는 학생용 제목 페이지 양식이 추가되어, 학생 논문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16]3. 2. 본문
APA 스타일은 본문 내에서 저자-날짜 참고 인용 방식을 사용하며, 참고 문헌 목록을 함께 제공한다. 즉, 논문에서 참고 문헌을 인용하려면 저자와 발표 연도를 인용해야 하며, 쉼표로 구분하여 괄호 안에 둘 다 넣거나(괄호 인용), 문장의 서술에 저자를 넣고 연도를 괄호 안에 넣어야 한다(서술 인용).서술 인용 예시: Schmidt와 Oh (2016)는 과학적 발견이 현실이 아니라는 대중의 두려움을 설명했다.
괄호 인용 예시: "탈진실 시대에 많은 대중은 과학적 발견이 현실이 아니라고 두려워한다"(Schmidt & Oh, 2016).
3. 3. 참고 문헌
APA 스타일 참고 문헌 목록에서 작성자는 인용된 연구의 저자, 연도, 제목 및 출처를 참고 문헌의 알파벳순 목록으로 제공해야 한다. 참고 문헌이 본문에서 인용되지 않은 경우, 참고 문헌 목록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참고 문헌 형식은 문서 유형(예: 저널 기사, 편집된 도서 챕터, 블로그 게시물, 웹 페이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항상 저자, 날짜, 제목, 출처의 동일한 패턴을 따른다. 출처에 날짜가 없는 경우, 약어 '''n.d.''' (날짜 없음)를 사용한다.- 연구에 DOI가 할당된 경우 DOI를 제공한다. 항목이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DOI가 없고 작동하는 URL이 있는 경우 URL을 제공한다. 작동하지 않는 URL은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
- 도서 및 참고 자료의 경우 항상 출처 요소에 출판사를 포함해야 한다. 이 지침에 대한 예외는 저자와 출판사가 동일한 경우이며, 이 경우 참고 문헌에서 출판사를 생략한다.
- 제7판부터 웹 페이지 제목은 항상 이탤릭체로 표시된다.
- 제7판부터 저널의 호수는 사용할 수 있는 경우 항상 참고 문헌 인용에 나열된다. 제7판 이전에는 인용된 저널이 권 전체에 걸쳐 연속 페이지 매김을 사용하는 경우, 참고 문헌 목록에는 권 번호만 나열되었다.
- 제7판에 따르면, 도서를 인용할 때 더 이상 출판사 소재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4. 참고 문헌 작성법
APA 스타일에서 참고 문헌은 인용된 연구의 저자, 발행 연도, 제목, 출처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4] 본문에서 인용되지 않은 참고 문헌은 목록에 포함하지 않는다.[4] 참고 문헌 형식은 문서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저자, 날짜, 제목, 출처의 패턴을 따른다.[4] 출처에 날짜가 없는 경우, '''n.d.''' (날짜 없음) 약어를 사용한다.[4]
참고 문헌 유형 | 템플릿 | 예시 |
---|---|---|
DOI가 있는 저널 기사 | 저자, A., & 저자, B. (연도). 기사 제목. 저널 제목, 권(호), 페이지 범위. DOI | Schmidt, F. L., & Oh, I.-S. (2016). 심리학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 위기: 복제의 부족이 진짜 문제인가요? 아니면 다른 문제인가요? Archives of Scientific Psychology, 4(1), 32–37. https://doi.org/10.1037/arc0000029 |
전체 도서 | 저자, A., & 저자, B. (연도). 도서 제목. 출판사. | Brown, B. (2010). 'The gifts of imperfection: Let go of who you think youre supposed to be and embrace who you are''. Hazelden. |
DOI가 있는 편집 도서 챕터 | 저자, A., & 저자, B. (연도). 챕터 제목. E. 편집자 & A. 편집자 (Eds.), 도서 제목 (pp. xx–xxi). 출판사. DOI | Singh, A. A., Hwahng, S. J., Chang, S. C., & White, B. (2017). Affirmative counseling with trans/gender-variant people of color. In A. Singh & L. M. Dickey (Eds.), Affirmativ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practice with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clients (pp. 41–68).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4957-003 |
웹사이트의 웹 페이지 | 저자, A., & 저자, B. (연도). 페이지 제목. 사이트 이름. URL |
- 연구에 DOI가 할당된 경우 DOI를 제공한다. 온라인에서 항목을 사용할 수 있지만 DOI가 없고 작동하는 URL이 있는 경우 URL을 제공하며, 작동하지 않는 URL은 제공하지 않는다.[4]
- 도서 및 참고 자료의 경우 항상 출처 요소에 출판사를 포함한다. 저자와 출판사가 동일한 경우는 참고 문헌에서 출판사를 생략한다.[4]
- 제7판부터 웹 페이지 제목은 항상 이탤릭체로 표시한다.[4]
- 제7판부터 저널의 호수는 사용할 수 있는 경우 항상 참고 문헌 인용에 나열되며, 제7판 이전에는 인용된 저널이 권 전체에 걸쳐 연속 페이지 매김을 사용하는 경우, 참고 문헌 목록에는 권 번호만 나열되었다.[4]
- 도서를 인용할 때 더 이상 출판사 소재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4]
4. 1. 인쇄물
APA 스타일 참고 문헌 목록은 인용된 연구의 저자, 연도, 제목 및 출처를 알파벳순으로 제공한다.[4] 참고 문헌이 본문에서 인용되지 않았다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4] 참고 문헌 형식은 문서 유형(예: 저널 기사, 편집된 도서 챕터, 블로그 게시물, 웹 페이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저자, 날짜, 제목, 출처의 패턴을 따른다.[4] 출처에 날짜가 없는 경우 '''n.d.'''(날짜 없음) 약어를 사용한다.[4]참고 문헌 유형 | 템플릿 | 예시 |
---|---|---|
DOI가 있는 저널 기사 | 저자, A., & 저자, B. (연도). 기사 제목. 저널 제목, 권(호), 페이지 범위. DOI | Schmidt, F. L., & Oh, I.-S. (2016). 심리학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 위기: 복제의 부족이 진짜 문제인가요? 아니면 다른 문제인가요? Archives of Scientific Psychology, 4(1), 32–37. https://doi.org/10.1037/arc0000029 |
전체 도서 | 저자, A., & 저자, B. (연도). 도서 제목. 출판사. | Brown, B. (2010). 'The gifts of imperfection: Let go of who you think youre supposed to be and embrace who you are''. Hazelden. |
DOI가 있는 편집 도서 챕터 | 저자, A., & 저자, B. (연도). 챕터 제목. E. 편집자 & A. 편집자 (Eds.), 도서 제목 (pp. xx–xxi). 출판사. DOI | Singh, A. A., Hwahng, S. J., Chang, S. C., & White, B. (2017). Affirmative counseling with trans/gender-variant people of color. In A. Singh & L. M. Dickey (Eds.), Affirmativ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practice with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clients (pp. 41–68).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037/14957-003 |
웹사이트의 웹 페이지 | 저자, A., & 저자, B. (연도). 페이지 제목. 사이트 이름. URL |
- 연구에 DOI가 할당된 경우 DOI를 제공한다. 온라인에서 항목을 사용할 수 있지만 DOI가 없고 작동하는 URL이 있는 경우 URL을 제공하며, 작동하지 않는 URL은 제공하지 않는다.[4]
- 도서 및 참고 자료의 경우 항상 출처 요소에 출판사를 포함한다. 저자와 출판사가 동일한 경우는 참고 문헌에서 출판사를 생략한다.[4]
- 제7판부터 웹 페이지 제목은 항상 이탤릭체로 표시한다.[4]
- 제7판부터 저널의 호수는 사용할 수 있는 경우 항상 참고 문헌 인용에 나열되며, 제7판 이전에는 인용된 저널이 권 전체에 걸쳐 연속 페이지 매김을 사용하는 경우, 참고 문헌 목록에는 권 번호만 나열되었다.[4]
- 도서를 인용할 때 더 이상 출판사 소재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4]
;주간지 기사
: Henry, W. A., III. (1990, April 9). Making the grade in today's schools. ''Time, 135'', 28–31.[5]
;신문 기사
: Wrong, M. (2005, August 17). "Never Gonna Give You Up" says Mayor. ''Toronto Sol'', p. 4.[6]
;정부 문서
: Revenue Canada. (2001). ''Advanced gouging: Manual for employees'' (MP 65–347/1124). Ottawa: Minister of Immigration and Revenue.[7]
4. 1. 1. 단행본
- 1명이 저술한 책
: Sheril, R. D. (1956). ''The terrifying future: Contemplating color television''. San Diego: Halstead.[1]
- 2명 이상이 저술한 책
: Smith, J., & Peter, Q. (1992). ''Hairball: An intensive peek behind the surface of an enigma''. Hamilton, ON: McMaster University Press.[2]
- 편집된 책의 기사
: Mcdonalds, A. (1993). Practical methods for the apprehension and sustained containment of supernatural entities. In G. L. Yeager (Ed.), ''Paranormal and occult studies: Case studies in application'' (pp. 42–64). London: OtherWorld Books.[3]
4. 1. 2. 학술지 논문
- Rottweiler, F. T., & Beauchemin, J. L. (1987). Detroit and Narnia: Two foes on the brink of destruction. ''Canadian/American Studies Journal'', ''54'', 66-146.[1]
- Crackton, P. (1987). The Loonie: God's long-awaited gift to colourful pocket change? ''Canadian Change'', ''64''(7), 34–37.[2]
수정 사항:
1. 원본 소스 반영: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 학술지 논문 형식에 해당하는 두 가지 예시를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2. 위키텍스트 형식 준수: `` 형태의 인용구는 유지했습니다.
3. 불필요한 내용 제거: 이전 출력에 추가적인 설명이나 지시사항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본문만 출력하도록 수정했습니다.
4. 1. 3. 편집된 책의 장
Mcdonalds, A. (1993). Practical methods for the apprehension and sustained containment of supernatural entities. In G. L. Yeager (Ed.), ''Paranormal and occult studies: Case studies in application'' (pp. 42–64). London: OtherWorld Books.[1]APA Style|APA 스타일영어에서 편집된 책의 장(chapter)을 인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른다.
4. 2. 전자 매체
APA 스타일에서 전자 매체를 인용할 때는 몇 가지 형식을 따른다. 인쇄물이 원본인 인터넷 문서의 경우, 원본 형식 그대로라면 [Electronic version]이라고 표시한다. 원본과 형식이 다르면 논문 제목, 저널명, 권, 페이지 범위를 작성하고, 자료를 가져온 URL을 'Retrieved from'과 함께 명시한다.[36]인터넷판만 있는 저널 논문의 경우, 저자, 발행 연도, 논문 제목, 저널명, 권, 논문 번호(Article)를 쓰고, 자료를 가져온 URL을 'Retrieved from'과 함께 적는다. 인터넷판만 있는 신문 기사도 유사한 방식으로 작성한다.[36]
저자 및 작성일이 표시되지 않은 독자적 인터넷 문서의 경우, 제목을 쓰고 (n.d.)를 붙여 날짜가 없음을 표시하고, URL을 'Retrieved from'과 함께 적는다. 대학교 교육 프로그램 웹사이트 문서의 경우, 저자, 발행 연도, 제목을 쓰고, 'Retrieved from' 뒤에 대학교 웹사이트 이름과 URL을 명시한다.[36]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저널 논문의 전자 복제본은 저자, 발행 연도, 논문 제목, 저널명, 권, 페이지 범위를 쓰고, 'Retrieved from' 뒤에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적는다.[36]
전자우편과 같은 개인적인 의사소통은 본문에서만 언급하고 참고 문헌 목록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CD나 테이프 형태의 책은 저자, 발행 연도, 제목을 쓰고, 자료 형태([CD] 또는 [Cassette Recording No. 1999-1999-1999])를 명시한 후 출판 정보를 적는다. 영화의 경우 제작자와 감독, 발행 연도, 제목, 자료 형태([Motion picture])를 쓰고, 제작사 정보를 포함한다.[36]
4. 2. 1. 온라인 학술지 논문
저자. (발행 연도). 논문 제목.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 범위. DOI 또는 URL[36]예시:
- Marlowe, P., Spade, S., & Chan, C. (2001). Detective work and the benefits of colour versus black and white. ''Journal of Pointless Research'', ''11'', 123–124. Retrieved October 25, 2007, from www.pointlessjournal.com
- Blofeld, E. S. (1994, March 1). Expressing oneself through Persian cats and modern architecture. ''Felines & Felons'', 4, Article 0046g. Retrieved October 3, 1999, from journals.f+f.org
4. 2. 2. 웹사이트
저자 또는 단체명. (발행 연도 또는 n.d.). ''웹 페이지 제목''. 사이트 이름. URL. DOI가 있는 경우, DOI를 URL보다 우선적으로 표기한다. 7판에서는 웹 페이지 제목을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가능한 경우 호(issue) 번호를 권(volume) 번호와 함께 표기하도록 변경되었다.[36]템플릿 | 예시 |
---|---|
저자, A., & 저자, B. (연도). 페이지 제목. 사이트 이름. URL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d.). APA divisions. https://www.apa.org/about/division/ |
5. 윤리적 고려 사항
APA영어 스타일은 편견 없는 언어 사용을 강조하며, 성별, 인종, 민족, 연령, 성적 지향, 장애 등과 관련된 차별적 표현을 지양한다.[32][33] 1974년 판의 부록으로 처음 나온 "APA 저널의 비성차별 언어 가이드라인(Guidelines for Nonsexist Language in APA Journals)"에서는 성차별적 용어를 대체하는 방법을 제시했다.[30][31] 차별적 용어를 줄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은 해마다 갱신되고 있다.[32][33]
7판에서는 접근성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해 장애인의 접근성을 고려한 인용 형식 등을 제시하여, 학술 정보의 포용성을 높였다.[17] 예를 들어, 본문 내 인용 형식은 화면 읽기를 사용하거나 인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단축되었다.
6. 한국 사회에의 적용과 시사점
APA 스타일은 1954년 Psychological Bulletin영어의 60페이지 부록에서 시작되었다.[27] APA는 이 가이드라인을 사회 및 행동 과학 분야의 독해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했으며, 의사소통의 명확화와 차별적이고 편견적인 용어 사용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28][29]
APA 스타일은 국내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논문 작성 양식 중 하나이며, 특히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된다. APA 스타일은 간결하게 참고 문헌을 작성하는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어휘 선택에 대한 기준도 제시한다. 특히 1974년 판 부록으로 처음 소개된 "APA 저널의 비성차별 언어 가이드라인(Guidelines for Nonsexist Language in APA Journals)"은 큰 영향을 미쳤다.[30][31] 이 가이드라인은 성차별적 용어를 대체하는 방법을 제시했으며,[30][31] 차별적 용어를 줄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은 매년 갱신되어 인종, 민족, 연령, 성별, 성적 지향, 장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32][33]
APA 스타일의 명확하고 간결한 글쓰기 원칙은 학술적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표절 예방 및 연구 윤리 준수에 기여한다. 특히, 편견 없는 언어 사용 지침은 한국 사회의 다양성 존중 및 차별 해소 노력과 맞닿아 있으며, 학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 비판
APA 스타일은 주로 영미권 학술 환경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한국어 논문 작성 시 일부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에는 대소문자 구분이 없고 기울임체를 잘 사용하지 않아 제목 형식 등을 그대로 따르기 어렵다. APA 스타일의 잦은 개정은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이전 판에 익숙한 연구자들에게는 새로운 형식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
[2]
웹사이트
APA Style
https://apastyle.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02-26
[3]
학술지
Instructions in regard to preparation of manuscript
1929-02
[4]
웹사이트
APA Style Blog: The Origins of APA Style
http://blog.apastyle[...]
2016-12-14
[5]
서적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 Historical Perspect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2
[6]
학술지
The preparation of articles for publication in the journals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44-06
[7]
학술지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52
[8]
학술지
Reporting Standards for Research in Psychology: Why Do We Need Them? What Might They Be?
http://www.apastyle.[...]
2008-12
[9]
서적
Codifying the social scientific style: The ''APA Publication Manual'' as a behaviorist rhetoric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7
[10]
학술지
The Language of Psychology: APA Style as Epistemology
1995
[11]
웹사이트
Style and Grammar Guidelines
https://apastyle.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3-10-03
[12]
학술지
Guidelines for nonsexist use of languag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5-06
[13]
학술지
Guidelines for nonsexist language in APA journals [Change Sheet 2]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7-06
[14]
웹사이트
What is APA Styl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enago.co[...]
2021-09-17
[15]
웹사이트
About APA Style
https://apastyle.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02-27
[16]
웹사이트
Product page for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venth Edition (2020)
https://apastyle.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02-27
[17]
서적
Introduction to the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eventh Edition
https://apastyle.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0-02-27
[18]
웹사이트
What is a Running Head in APA Stye?
https://editorworld.[...]
2023-04-21
[19]
웹사이트
APA Style
https://apastyle.apa[...]
[20]
웹사이트
APA Style Blog
https://apastyle.apa[...]
[21]
Agenda book
Meeting of the Council of Editor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7-04-13
[22]
Agenda book
Meeting of the Publications and Communications Boar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7-05-18
[23]
학술지
Reporting Standards for Research in Psychology: Why Do We Need Them? What Might They Be
http://www.apastyle.[...]
2008
[24]
웹사이트
Note to APA Style Community: Sixth Edition Corrections
http://blog.apastyle[...]
2009-10-08
[25]
학술지
Correcting a Style Guide
https://www.insidehi[...]
2009-10-13
[26]
웹사이트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s://catalog.lo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0
[27]
웹사이트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www.barnesand[...]
Barnes & Noble
2015-06-27
[28]
웹사이트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ixth Edi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http://www.apastyle.[...]
2013-02-14
[29]
웹사이트
APA Style
http://www.apastyl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10-27
[30]
학술지
Guidelines for nonsexist use of language
http://psycnet.apa.o[...]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10-27
[31]
학술지
Guidelines for nonsexist language in APA journals [Change Sheet 2]
http://psycnet.apa.o[...]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10-27
[32]
서적
미국심리학회
2009
[33]
웹사이트
Supplemental materials: Chapter 3: Writing Clearly and Concisely
http://apastyle.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10-27
[34]
웹인용
APA 양식으로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
https://www.enago.co[...]
2022-11-18
[35]
웹인용
초록과 서론을 명확히 구분하는 방법
https://www.enago.co[...]
[36]
문서
APA 양식에서는 웹사이트(website) 대신 웹 사이트(Web site)로 표기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